
금융보안원, 금융권 통합보안관제 체계 고도화 추진
금융보안원(원장 박상원)은 국내 금융권을 대상으로 사이버 위협 대응 강화를 위해 통합보안관제 체계 고도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고도화는 금융권의 보안관제 효율성과 탐지 능력을 높이고, 전반적인 사이버 보안 체계를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주요 추진 과제로는
공격표면 관리(ASM) 고도화
,
AI 기반 분석 자동화
,
보안관제 탐지체계 고도화
가 포함됩니다.
금융권 공격표면 관리(ASM) 고도화
금융서비스 환경이 복잡해지고 사이버 위협이 정교해짐에 따라, 금융보안원은 금융권의 공격표면 관리 고도화를 추진합니다. 공격표면 관리(ASM)는 사이버 공격에 노출될 수 있는 모든 시스템과 경로를 식별·관리하는 핵심 과정으로, 조직의 보안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번 고도화 계획은 최신 위협 정보 기반의 분석을 통해 금융기관의 시스템, 홈페이지, 외부 서비스 노출 영역을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취약점을 자동 탐지하는 체계를 마련합니다. 또한, 금융권 전반의 공격표면 정보를 통합 관리하여, 예방적 보안 운영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예정입니다.
AI 기반 분석 자동화 및 전문인력 효율화
금융보안원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하여 보안 분석 절차를 자동화하고, 전문 인력의 효율성을 높이는 계획을 추진합니다. 방대한 보안 로그와 위협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고, 이상 징후를 조기에 탐지하는 AI 분석 엔진을 도입함으로써 대응 속도를 높이는 것이 목표입니다.
- 보안 이벤트 자동 분류 및 대응 우선순위 설정
- AI 모델을 통한 침입 패턴 학습 및 재발 방지
- 보안 인력의 반복 업무 감소 및 전략적 업무 집중
이러한 자동화된 분석 체계는 보안관제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금융기관별 위협 대응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보안관제 탐지체계 고도화
보안관제 탐지체계 고도화는 실시간 위협 탐지 및 즉각 대응 능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인공지능 기반의 위협 탐지 기술이 결합되어, 사이버 공격자의 행동 패턴을 학습하고 사전에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체계가 구축됩니다.
금융기관 간 위협정보 공유(TI) 체계를 강화하여, 공격 징후를 조기 파악하고 공동 대응이 가능하도록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금융권 전체의 사이버 방어 체계를 상호 연계하고, 통합적인 대응 역량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AI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통합보안관제 고도화는 금융권 전체의 사이버 대응 역량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 금융보안원 관계자
결론
금융보안원이 추진하는 사이버 보안 고도화 방안은 ASM 고도화, AI 분석 자동화, 탐지체계 혁신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번 계획을 통해 금융권은 사이버 공격에 대한 선제적 대응 능력을 강화하고,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보안 운영 체계를 갖출 수 있을 것입니다. 향후 금융보안원은 관련 기술 개발과 정책 지원을 지속하며, 금융권 전체의 보안 역량을 한층 더 끌어올릴 예정입니다.
핵심 요약: 금융보안원은 공격표면 관리(ASM), AI 분석 자동화, 탐지체계 고도화 등 금융권 통합보안관제 혁신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IT 소식 뉴스 > IT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카스퍼스키, 3분기 국내 사이버 공격 통계 발표 — 인터넷 위협 감소·로컬 위협 증가 (2) | 2025.10.17 |
|---|---|
| 금융보안원, 금융권 통합보안관제 체계 고도화 추진 (7) | 2025.10.16 |
| 웨어밸리·디에스티인터내셔날, ‘LogCatch’ 국내 총판 계약 체결 (8) | 2025.10.15 |
| AP IB 내신관리 맞춤형 수업 모집 안내 (6) | 2025.10.15 |
| 긴트(GINT), 일본 제이-아그리(J-Agri) 박람회 참가 (14) | 2025.10.1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