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랜섬웨어 '모노록(Monolock)' 분석 및 대응 종합 가이드

반응형
신종 랜섬웨어 '모노록(Monolock)' 분석 및 대응 종합 가이드

신종 랜섬웨어 '모노록(Monolock)' 분석 및 대응 종합 가이드

요약

모노록(Monolock)은 2025년 하반기부터 다크웹에서 활발히 거래되는 신종 랜섬웨어로, 피싱 이메일 → 매크로 → 원격 바이너리 실행의 전형적인 유포 루틴을 따릅니다. AES-256/RSA-2048 혼합 암호화 기법과 API 해싱, 백업 차단 등 탐지 회피 기술을 결합한 고도화 공격으로 평가됩니다.

1️⃣ 주요 특징

  • 유포 방식: 악성 워드 문서 첨부 피싱 메일
  • 암호화 기법: AES-256 (파일 암호화) + RSA-2048 (키 보호)
  • 파일 변화: 확장자 .monolock 추가, 폴더마다 README_RECOVER.txt 남김
  • 탐지 회피: 백업·보안 프로세스 종료, DLL 위장, explorer.exe 주입, API 해싱
  • 운영 특징: 48시간 내 결제 시 10% 할인(심리적 압박 전략)

2️⃣ 공격 흐름

  1. 피싱 메일 수신 및 문서 열람 → 매크로 활성화
  2. 악성 코드 다운로드 및 실행 → 백업 서비스 종료
  3. 파일 암호화 시작 → 확장자 변경 및 README 파일 생성
  4. Tor 결제 페이지로 연결 → 비트코인 결제 요구

3️⃣ 익명화된 실제 사례: 제조사 A 보안 사고

사고 개요

제조사 A는 ERP용 서버를 운영 중이던 윈도우 시스템에서 모노록 랜섬웨어 감염이 발생했습니다. 매크로 문서를 통한 초기 침투 후, 내부 공유폴더까지 암호화가 확산되었습니다.

📅 공격 타임라인

  • 09:10 — 인사팀 이메일 계정으로 피싱 메일 수신
  • 09:15 — 사용자가 문서 실행 → 매크로 실행 후 C2 연결
  • 09:20 — 원격 서버에서 페이로드 다운로드
  • 09:28 — VSS 및 백업 서비스 강제 중단
  • 09:35 — 암호화 개시, 폴더별 README_RECOVER.txt 생성
  • 09:50 — 탐지 시스템 경보 발생, 내부망 격리

🔍 탐지 포인트

  • 워드(Winword.exe)가 explorer.exe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비정상 행위
  • 네트워크 로그에서 비표준 포트 HTTPS 세션 발생
  • 시스템 이벤트 로그 내 'VSS Service Stopped' 기록
  • 암호화된 파일명 확장자 .monolock 일괄 변경

🧭 대응 및 복구

  1. 감염 서버 즉시 분리 → 네트워크 케이블 제거
  2. EDR 콘솔에서 호스트 격리 조치
  3. 포렌식 이미지 수집 및 로그 분석
  4. 오프라인 백업 복원 → 정상 가동 재개
  5. 관리자 계정 및 API 토큰 전면 교체

💡 교훈

  • 백업 무결성 검증 및 오프라인 보관이 유일한 복구 수단
  • 매크로 차단 정책은 기업 보안 정책의 기본
  • EDR 탐지 규칙에 ‘비정상 explorer.exe 자식 프로세스’ 탐지 추가 필요

4️⃣ 탐지 및 포렌식 명령 예시

# Windows
tasklist /v
netstat -ano | findstr ESTABLISHED
wevtutil qe System /q:"*[System[(EventID=7036)]]" /c:30

# Linux (백업서버 등)
ps aux --sort=-%cpu | head -n 20
ss -tunap | grep -i established
find /var/backups -type f -mtime -1 -ls
      

5️⃣ 긴급 대응 체크리스트

  1. 감염 의심 장비 즉시 네트워크 격리
  2. 포렌식 이미지 및 EDR 로그 보존
  3. 백업 무결성 및 암호화 여부 확인
  4. 도메인 관리자·API 키 교체 및 MFA 활성화
  5. 탐지 룰 업데이트 (DLL 인젝션·API 해싱 징후)
  6. 의심 IP/C2 차단 및 방화벽 로그 분석

6️⃣ 복구 및 예방 권고

  • 감염 장비 원본 보존 후 정상 백업에서 복원
  • 이메일 보안 솔루션 강화 및 매크로 실행 정책 차단
  • Air-gap 백업 및 스냅샷 이중화 운영
  • 관리자 계정 분리·권한 최소화·MFA 적용
  • 정기적인 랜섬웨어 대응 훈련 및 IR Tabletop 수행

7️⃣ IOC(Indicator of Compromise) 수집 항목

  • 감염 파일명: README_RECOVER.txt
  • 암호화 확장자: .monolock
  • 의심된 실행 파일 해시값(MD5/SHA256)
  • 이상 네트워크 세션 로그 (C2 IP/Port)
  • VSS 서비스 중단 및 explorer.exe 주입 이벤트 로그
⚠️ 결제 주의: 공격자 결제는 복호화를 보장하지 않으며, 금전이 재범죄에 이용될 가능성이 큽니다. 반드시 보안 전문가 및 수사기관에 즉시 보고 후 복구 절차를 진행하십시오.

8️⃣ 결론

모노록은 기존 랜섬웨어의 공격 절차에 ‘정상 프로세스 위장’과 ‘백업 차단’ 기법을 결합한 신종 위협입니다. 기업은 다층 보안 전략(이메일 보안 + 엔드포인트 + 백업 + 권한관리)을 필수적으로 구축해야 하며, 감염 후에도 빠른 격리와 로그 보존이 피해 최소화의 핵심입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