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한국경제 1.2% 성장…반도체·소비 반등에 경기 회복 조짐

반응형

 

3분기 한국경제 1.2% 성장…반도체·소비 반등에 경기 회복 조짐

3분기 한국경제 1.2% 성장…반도체·소비 반등에 경기 회복 조짐

올해 3분기 한국 경제가 1.2% ‘깜짝 성장’했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이 호조세를 보인데다, 소비 쿠폰 효과로 민간 소비가 반등한 영향이다. 기획재정부는 올해 초 중단했던 국내총생산(GDP) 브리핑까지 재개하며 경기 회복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정부는 연간 성장률 1% 달성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놨다.

반도체 호황과 내수 회복, 성장세 견인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연간 실질 GDP’ 속보치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실질 GDP는 전기 대비 1.2% 성장했다. 이는 지난해 1분기 이후 1년 6개월 만의 최대 상승폭으로, 한은의 기존 전망치(1.1%)를 웃도는 결과다.

내수 회복이 3분기 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했다. 특히 정부의 소비 쿠폰 지급에 따른 소비심리 개선 효과가 컸다. 한국은행 이동원 경제통계2국장은 “민간 소비에서 심리 개선과 소비쿠폰 지급, 신제품 출시 효과가 맞물리며 큰 폭으로 늘었다”고 설명했다.

수출도 반도체 호황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이어갔다. 3분기 수출은 반도체, 자동차 등이 늘면서 전분기 대비 1.5% 증가했다. 다만 2분기(4.5%)의 기저효과로 인해 증가폭은 다소 둔화됐다. 수입은 기계·장비, 자동차 등을 중심으로 1.3% 늘었다.

정부 “연간 성장률 1% 달성 가능성 높아”

기획재정부는 이번 성장률을 두고 “내수와 수출이 모두 회복세를 보인 결과”라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특히 올해 초 잠정 중단했던 GDP 브리핑을 재개하며 경기 회복에 대한 확신을 표했다. 김재훈 기재부 경제정책국장은 “3분기 성장률이 내부 전망보다 많이 좋았다”며 “연간 성장률 1% 달성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밝혔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번 3분기 GDP는 새 정부의 첫 온전한 경제 성적표”라며 “내수 활성화와 중장기 잠재성장률 제고를 병행하겠다”고 말했다.

전문가 “단기 부양보다 구조개혁이 필요”

전문가들은 이번 성장을 ‘순풍’으로 평가하면서도, 건설경기 둔화와 가계부채 부담 등 불확실성 요인에 대한 경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4분기 성장률은 0.3~0.4% 수준으로 둔화될 가능성이 있다”며 “단기 부양책보다는 수출·투자 중심의 구조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해외 투자은행(IB) 역시 한국 경제가 연간 1%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고금리·고물가 상황 속 내수 둔화 리스크를 지적했다.

이번 3분기 GDP 성장은 정부가 추진한 소비 활성화 정책과 수출 회복이 맞물린 결과로 분석된다. 다만, 향후 경기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서는 건설·투자 부문 리스크 완화와 가계부채 관리가 병행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반응형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