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ache Tomcat 취약점 CVE-2025-52434 / 52520 / 53506

반응형

Apache Tomcat 취약점 CVE-2025-52434 / 52520 / 53506 — HTTP/2 및 파일 업로드 기반 DoS 분석 및 상세 대응방안

Apache Tomcat 취약점 CVE-2025-52434 / 52520 / 53506 — HTTP/2 및 파일 업로드 기반 DoS 분석 및 상세 대응방안

1️⃣ 개요

Apache Tomcat에서 보고된 세 건의 DoS 취약점(CVE-2025-52434, CVE-2025-52520, CVE-2025-53506)은 HTTP/2 처리 로직, APR/Native 모듈, 파일 업로드 처리에서 리소스 고갈을 유발할 수 있는 결함들입니다. 이 문서는 취약점 요약과 함께 즉시 적용 가능한 긴급 대책, Tomcat 및 프록시 설정 예제, WAF/IDS 규칙, 모니터링·탐지 및 장기 개선 권고를 통합한 실무용 대응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2️⃣ 취약점 요약

  • CVE-2025-52434 — HTTP/2 및 APR/Native 처리 중 DoS: 특정 HTTP/2 세션/연결 종료 처리 실패로 스레드/세션 고갈 유발.
  • CVE-2025-52520 — 파일 업로드 제한 초과로 인한 DoS: multipart 업로드 반복으로 메모리·디스크 I/O 포화.
  • CVE-2025-53506 — HTTP/2 스트림 과다 요청으로 인한 DoS: 대량 스트림/헤더 프레임 반복 전송으로 세션 큐 포화.

영향 버전: Tomcat 9.0.90 이하, 10.1.30 이하 등(패치된 버전은 Tomcat 보안 공지 확인).

3️⃣ 실무적 위협 시나리오

공격자는 HTTP/2 스트림을 대량으로 열거나 파일 업로드를 병렬로 전송하여 서버의 워커 스레드·메모리·디스크를 고갈시킨다. APR/Native 관련 취약은 특정 플랫폼에서 연결 종료 정리가 부적절해 장시간 세션 고착을 유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정상 트래픽에 대한 응답 지연·오류·서비스 중단으로 이어진다.

4️⃣ 통합 상세 대응방안 (문서 전체의 핵심 섹션)

아래는 운영자가 즉시 적용할 수 있는 긴급(Short-term)·권장(Permanent)·관제(Monitoring) 대응 세트를 단계별로 정리한 완전판입니다. 각 항목은 복사하여 바로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설정 예제와 명령을 포함합니다.

A. 긴급(즉시, 0~1시간) — 리스크 완화

  • 프론트엔드(리버스프록시)에서 HTTP/2·요청 속도 제한 적용
    # nginx 예시 (server 블록 안)
    http {
      limit_req_zone $binary_remote_addr zone=one:10m rate=10r/s;
      server {
        listen 443 ssl http2;
        http2_max_concurrent_streams 150;
        location / {
          limit_req zone=one burst=20 nodelay;
          proxy_pass http://backend;
          proxy_set_header X-Forwarded-For $proxy_add_x_forwarded_for;
        }
      }
    }
    
    설명: IP별 초당 요청수를 제한하고 HTTP/2 동시 스트림 상한을 설정해 프론트에서 과다 요청을 차단합니다.
  • 업로드 바디 크기 제한(프록시 수준)
    # nginx: 클라이언트 최대 본문 크기 제한
    server {
      client_max_body_size 10M;
      proxy_buffering off;
    }
    
    설명: 대용량 업로드로 인한 메모리·디스크 부하를 줄입니다. 엔드포인트별 정책으로 더 엄격히 적용 권장.
  • HTTP/2 임시 비활성화(긴급 옵션)

    서비스 영향이 크더라도 단기적으로 공격을 차단해야 할 경우 프록시에서 http2를 제거해 HTTP/1.1으로만 통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후 세부 튜닝을 거쳐 재허용하십시오.

  • WAF/방화벽에서 임시 룰 적용

    Cloud WAF 또는 온프레미스 방화벽에서 동일 IP의 대량 연결, 연속 multipart POST, 비정상 HTTP/2 헤더 패턴을 임시 차단하도록 룰을 추가합니다.

B. 권장 Tomcat 설정(단기→영구 적용)

먼저 공식 보안 패치를 적용하세요(패치 우선).

  • Connector (server.xml) 기본 권장 예시
    <Connector port="8080" protocol="org.apache.coyote.http11.Http11NioProtocol"
        maxThreads="200"
        acceptCount="100"
        connectionTimeout="20000"
        maxHttpHeaderSize="8192"
        maxPostSize="10485760"
        maxSwallowSize="10485760"
        enableLookups="false"
        URIEncoding="UTF-8" />
    
    설명: maxPostSize/maxSwallowSize로 업로드 처리량을 제어하고 maxThreads/acceptCount로 워커 큐를 관리합니다.
  • HTTP/2 파라미터 연동 (프록시 <-> Tomcat)

    리버스프록시의 max_concurrent_streams와 Tomcat의 maxThreads를 연동하여 설정해 프록시에서 Tomcat으로의 동시 요청 폭주를 방지합니다.

  • APR/Native 관리

    APR/Native 관련 이슈가 의심되면 패치가 적용될 때까지 APR/Native를 비활성화하거나, 필요한 경우 최신 라이브러리로 업데이트하세요. APR/Native가 불필요하면 제거를 고려합니다.

C. WAF / IDS / CDN 권고 및 예시 룰

  • 차단 우선 대상
    • 동일 IP에서 연속 다수의 대용량 multipart POST
    • HTTP/2 헤더 프레임 반복/재전송 패턴
    • 비정상적 User-Agent 또는 비정상 헤더 조합
  • mod_security(예시 룰 - 간단화)
    SecRule REQUEST_METHOD "POST" "chain,deny,msg:'Large multipart POST detected'"
      SecRule TX:CONTENT_LENGTH "@gt 10485760" "t:none"
    
    SecRule REQUEST_HEADERS:TE ".*trailers.*" "phase:2,deny,msg:'suspicious HTTP/2 TE header usage'"
    
    실제 룰은 환경·WAF 벤더에 맞춰 정교화 및 테스트 필요.
  • CDN/WAF 설정

    Cloudflare, Akamai 등 CDN의 레이트 리미트, 브롯세이프(도스 보호) 기능을 활성화해 대량 연결을 흡수하도록 구성합니다.

D. 애플리케이션·엔드포인트 레벨 보호

  • 파일 업로드 아키텍처 분리

    업로드 엔드포인트는 별도 서비스/서버로 분리하고, 업로드는 큐 기반 비동기 처리로 전환해 메인 서비스 보호.

  • 입력 유효성·인증 강화

    파일 타입·확장자·크기 검증, 인증 토큰 검증 및 CSRF 차단을 적용합니다.

  • 리소스-유발 기능 보호

    압축 해제·대용량 처리 등 heavy 작업은 큐·스케줄러로 제어하고, 요청 유효성 불일치 시 즉시 연결 종료(early reject)를 수행합니다.

E. 모니터링·탐지(관제) 지표 및 알림

핵심 지표 및 권장 알림 기준(예시):

  • 관측 지표
    • Tomcat active threads, maxThreads 사용률
    • OS TCP 상태(CLOSE_WAIT, SYN_RECV) 비율
    • JVM GC 빈도 및 Full GC 발생
    • 임시 디렉터리(/tmp) 및 업로드 임시폴더 디스크 I/O
  • 권장 알림 임계값(예시)
    • active threads > 80% of maxThreads → 경고
    • CLOSE_WAIT 급증(전일 대비 5배 이상) → 경보
    • Full GC 5분 내 3회 이상 → 경보
    • /tmp 디스크 사용률 > 70% → 경고
  • 로그패턴 탐지

    access log에서 동일 IP의 짧은 시간내 다수 POST, HTTP/2 관련 비정상 헤더 반복, WAF 이벤트 급증 등을 탐지 규칙으로 추가하세요.

F. 실무용 점검·탐지 명령 예제

# 1) Tomcat 스레드 현황 (Linux)
ps -eo pid,cmd,%mem,%cpu --sort=-%cpu | head
jcmd <tomcat-pid> Thread.print > /tmp/tomcat_threads.txt

# 2) 소켓 상태 요약
ss -s
ss -ant | awk '{print $1}' | sort | uniq -c

# 3) CLOSE_WAIT 빈도 확인
ss -ant | awk '/CLOSE-WAIT/ {count++} END {print count}'

# 4) 업로드 임시디렉터리 I/O 상황
iostat -x 1 5

# 5) access_log에서 IP별 POST 카운트 (최근 로그 샘플 기준)
tail -n 1000 /var/log/nginx/access.log | awk '$6 ~ /POST/ {print $1}' | sort | uniq -c | sort -nr | head

G. 테스트·검증(패치/설정 변경 후)

  • 부하/공격 시나리오 재현 (스테이징) — h2load, wrk, siege 등을 이용해 HTTP/2 스트림 포화, 병렬 multipart 업로드 테스트 수행.
  • 알림 테스트 — 모니터링 임계값 도달 시 실제 알림이 수신되는지 검증.
  • WAF 룰 튜닝 — false positive를 최소화하도록 룰을 점진적·반복적으로 조정.

H. 장기(구조적) 개선 권고

  • 트래픽 아키텍처 개선: CDN + WAF + 리버스프록시 + 내부 App 서버 구조 표준화
  • 업로드 서비스 분리 및 마이크로서비스화: 대용량 처리 서비스는 별도 스케일링 적용
  • IaC(인프라 코드)로 설정 관리 및 자동 롤아웃/롤백 체계 구축
  • 정기적인 모의 부하/보안 테스트를 통한 지속적 튜닝

I. 요약 플레이북(긴급→단기→중기→장기)

  1. 긴급(0~1시간): nginx 레벨 limit_req / client_max_body_size 적용, HTTP/2 동시스트림 제한, 의심 IP 임시 차단
  2. 단기(1~24시간): Tomcat 패치 적용, server.xml 설정(예: maxPostSize/maxSwallowSize/maxThreads) 반영, 모니터링 임계값 설정
  3. 중기(1~7일): 부하 재현·튜닝, 업로드 엔드포인트 분리 검토, WAF 룰 정교화
  4. 장기(1개월~): 아키텍처 개선, 자동화·IaC 적용, 정기 모의시험 및 훈련
가장 먼저 할 일: 공식 패치 적용 + 프록시 레벨에서의 속도/크기 제한입니다. 이후 Tomcat 설정·모니터링·WAF 룰을 병행 적용하세요.

5️⃣ 점검 포인트(체크리스트)

  • Tomcat 버전 및 APR/Native 빌드 확인(패치 적용 여부)
  • server.xml의 maxPostSize / maxSwallowSize / maxThreads 설정 확인
  • 리버스프록시(nginx)에서 http2_max_concurrent_streams / limit_req 적용 여부
  • WAF에서 대용량 업로드·HTTP/2 관련 룰 활성화 여부
  • 모니터링 경보(스레드, CLOSE_WAIT, GC, 디스크 I/O) 설정 여부

6️⃣ 결론

CVE-2025-52434, -52520, -53506는 Tomcat 기반 서비스 운영자에게 실질적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는 DoS 취약점입니다. 단기적으로는 패치 적용과 프론트엔드(프록시/WAF)에서의 제한 조치가 필수이며, 중·장기적으로는 아키텍처 분리·자동화·정기 점검을 통해 재발을 방지해야 합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