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S, WSUS 치명적 RCE(CVE-2025-59287) 재배포 — 즉시 패치·완화 적용 권고
Out-of-band 업데이트 즉시 설치 (KB5070882~4)
8530 / 8531 인바운드 트래픽 즉시 차단
외부 네트워크 노출 WSUS 즉시 분리
의심스러운 프로세스·이벤트 집중 확인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 서버의 패치 관리 기능인 WSUS(Windows Server Update Services)에서 발견된 원격코드실행(RCE) 취약점 CVE-2025-59287에 대해 긴급(out-of-band) 보안 업데이트를 다시 배포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이미 실제 공격에 악용되는 사례가 보고되어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합니다.
무엇이 문제인가?
CVE-2025-59287은 WSUS의 특정 입력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역직렬화 취약점으로, 공격자가 SYSTEM 권한을 획득해 임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CVSS 점수는 9.8로 평가되며, CISA는 이미 이를 Known Exploited Vulnerability(KEV) 목록에 추가했습니다.
- 취약점: CVE-2025-59287 (WSUS RCE) — CVSS 9.8 (치명)
- 상황: 실제 공격 관측 → 긴급 패치 재배포
- 대상: Windows Server 2012~2025 (WSUS 활성화 환경)
- 조치: 즉시 패치 또는 임시 완화조치 적용
영향받는 환경
WSUS 서버 역할이 활성화된 모든 Windows Server 버전(2012, 2016, 2019, 2022, 2025)이 영향을 받습니다. 기본적으로 WSUS는 비활성 상태지만, 기업 내 중앙 패치 관리 서버로 사용 중이라면 노출 가능성이 높습니다.
공식 패치 및 KB 링크
| 버전 | KB 번호 | 다운로드 |
|---|---|---|
| Windows Server 2016 | KB5070882 | 공식 KB 링크 |
| Windows Server 2019 | KB5070883 | 공식 KB 링크 |
| Windows Server 2022 | KB5070884 | 공식 KB 링크 |
임시 대응 방안
- WSUS 서버 역할을 일시적으로 비활성화
- 방화벽에서
8530/TCP,8531/TCP인바운드 차단 - 외부 노출된 WSUS 서버는 즉시 격리
- WSUS 이벤트 로그에서 비정상 요청 탐지 및 프로세스 실행 모니터링
공용 IP 또는 포트(8530/TCP, 8531/TCP)가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지 점검합니다. 외부 노출이 확인되면 즉시 네트워크 접근 차단(ACL) 또는 물리/가상 네트워크 분리(격리)를 수행하세요.
Server Manager 또는 PowerShell로 WSUS 역할을 일시 중지합니다. 복구 계획 수립 전까지 서비스(동기화) 재개를 보류하세요.
# 예: PowerShell (관리자 권한) Uninstall-WindowsFeature -Name UpdateServices
호스트 방화벽(Windows Firewall) 및 엣지(네트워크) 방화벽에서 인바운드 트래픽을 모두 차단하세요. 필요 시 80/443 등 관리 포트도 접근 제어합니다.
WSUS 관련 이벤트 로그(동기화 요청·인증 실패 등)와 프로세스 체인을 모니터링합니다. 특히 w3wp.exe → cmd.exe / powershell.exe 연쇄 실행, 비정상 네트워크 연결을 찾아 즉시 조사하세요.
현장 대응 체크리스트
- 패치 적용 후 서비스 재시작 및 정상 동기화 확인
- WSUS 로그에 의심 명령 실행 흔적(w3wp.exe→cmd.exe) 존재 여부 확인
- 관리자 계정·자격증명 변경 및 비밀번호 회수
- 포렌식 대비를 위한 시스템 스냅샷·메모리 덤프 보존
전문가 코멘트
보안 전문가들은 “패치 관리 서버는 조직 내에서 가장 신뢰도가 높은 인프라 중 하나”라며 “이를 악용하는 공격은 조직 전체 보안을 위협한다”고 경고합니다. 즉각적인 패치와 재점검이 필요합니다.
출처: Microsoft Security Update, CISA KEV, The Hacker News, Huntress, BleepingComputer, Palo Alto Unit42
'IT 소식 뉴스 > CVE CO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VE-2025-61932 — Lanscope Endpoint Manager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1) | 2025.11.02 |
|---|---|
| CVE-2024-5535 | OpenSSL SSL_select_next_proto 권한 상승 취약점 (4) | 2025.10.30 |
| Windows11 - 10월 CVE 목록 및 대응 방법 (CVE-2025-59275, CVE-2025-59261, CVE-2025-59210, CVE-2025-33073, CVE-2025-29828 (0) | 2025.10.30 |
| OpenSSH CVE-2023-38408 (3) | 2025.10.21 |
| 레디스(Redis) 루아 취약점 'RediShell' CVE-2025-49844 분석 (4) | 2025.10.16 |
